반응형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 Transcription of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Jin Version, in Silver on Indigo Paper, Volume 13 , 紺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十三 ]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가운데 제13권. 1991년 12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1991년 12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湖林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은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으로 《화엄경》이라고도 한다. 권자본, 1권 1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경전은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의 제13권으로 두루마리 형태이며, 감색 종이에 금·은가루를 사용하여 글씨를 썼다. 표지는 금은니(金銀泥) 보상당초문(寶相唐草紋)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고, 왼쪽 상단의 금니 쌍선의 사각형 안에 ‘대방광불화엄경권제십삼(大方廣佛華嚴經卷第十三)’이라는 제목이 금니로 적혀 있으며, 그 아래 ‘진(晉)’자가 금색으로 씌어 있어 진본임을 알 수 있다.
권말(卷末)에 고려 충숙왕(忠肅王:재위 1313∼1330) 때 해인사(海印寺) 주지를 지낸 향여(向如), 즉 목암(木庵) 체원(體元)이 보충하여 썼다는 지기(識記)가 있고, 사경(寫經)의 품격으로 보아 고려 후기인 1330년 무렵에 사성(寫成)한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Transcription of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반응형
'우리동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감찬 생가 터(낙성대) (0) | 2022.08.01 |
---|---|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0) | 2022.08.01 |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0) | 2022.08.01 |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0) | 2022.08.01 |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