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
[ Bigleaf hydrangea ]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
일본 원산이며 정원이나 화단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3m, 겨울에 위쪽 가지가 죽는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7~15cm, 폭 5~10cm, 두껍고 윤이 난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산방꽃차례에 많이 달리고, 연한 자주색, 푸른색, 연한 붉은색, 생식 능력이 없는 중성꽃만 있다. 꽃차례는 둥글고, 지름 10~15cm다. 꽃받침은 4~5장, 꽃잎처럼 보이며, 시기에 따라서 색깔이 달라진다. 꽃잎은 4~5장이지만 매우 작다. 수술은 10개쯤이다. 암술은 퇴화되어 있고, 암술대는 3~4개다. 많은 원예품종이 있으며, 그늘 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 널리 심어 기른다. 일본에 분포하며, 북반구에서 광범위하게 재배한다. 산수국에 비해서 재배하며, 꽃은 모두 중성꽃으로만 되어 있으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신약 개발 잠재성이 높은 식물이다.
떨기나무다. 줄기는 높이 1~3m, 겨울에 위쪽 가지가 죽는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7~15cm, 폭 5~10cm, 두껍고 윤이 난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줄기 끝의 산방꽃차례에 많이 달리고, 연한 자주색, 푸른색, 연한 붉은색, 생식능력이 없는 중성꽃만 있다. 꽃차례는 둥글고, 지름 10~15cm다. 꽃받침은 4~5장, 꽃잎처럼 보이며, 시기에 따라서 색깔이 달라진다. 꽃잎은 4~5장이지만 매우 작다. 수술은 10개쯤이다. 암술은 퇴화되어 있고, 암술대는 3~4개다. 많은 원예품종이 있다.
꽃은 6~7 월에 핀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식물이며 그늘 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 자라는데 습기가 많은 토양이 필요하다.
본 분류군은 시에볼드(Siebold)와 주카리니(Zuccarini)가 일본에서 Hydragea otaksa라는 독립된 종으로 기재했었다가, 1923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아놀드 수목원의 당시 아시아 식물의 전문가였던 윌슨(Wilson)에 의해 Hydrangea macrophylla의 품종으로 처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 널리 심어 기른다. 꽃이 달리는 화서가 공 모양의 구형인 것이 특징이며, 정원에서 재배하는 수국 종류 중에서 가장 널리 심는 품종이다. 산수국(H. serrata (Thunb.) Ser.)에 비해서 자생하지 않고 재배하며, 꽃은 모두 중성꽃으로만 되어 있으므로 구분된다. 시에볼드(Siebold)와 주카리니(Zuccarini)가 오탁사(Otaksa)라는 일본 이름에 근거해서 본 분류군의 이름을 지었는데, 현재 일본에서는 오탁사라는 이름이 쓰이고 있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어원에 대해 알려진 바 없다. 최근 일본 하마마츠 의대의 이시 교수의 연구팀이 수국의 생약 성분과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수국의 추출물이 말라리아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쥐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 수국의 잎에서 추출한 페브리퓨진(febrifugine)과 아이오페브리퓨진(isofebrifugine)이 말라리아원충인 플라스모디움(Plasmodium)에 감염되었을 때 사이토키닌과 항체 형성이 증가하는 것이 나타났다. 수국은 관상용으로 주로 재배되는 식물인데 신약으로도 개발될 잠재성이 높은 식물이다(Ishih et al. 2001, 2004).
'알고가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빈장씨 (0) | 2022.09.16 |
---|---|
능소화 통화식물목 (0) | 2022.09.16 |
천일홍 (0) | 2022.09.16 |
연꽃[ lotus ] (0) | 2022.09.16 |
배롱나무[ crape myrtle ] (0) | 2022.09.16 |
댓글